포트포워딩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키는 방법 및 셋팅 등등...(커맨드사용법)

겜타블 2021. 2. 3. 22:04

오늘은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여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의 서버를 열려면 먼저 도메인과 포트포워딩을 해야합니다. 제가 아래의 링크에 다 써놨기때문에 아래의 링크를 클릭 후에 이 글을 보고 서버를 여시면됩니다. 또한 포트포워딩 및 도메인을 작업하려면 대략 3시간정도 헤맬 수 있으므로 3시간정도의 여유가 있다면 한번해보시고, 만약 안된다면 나중에 기회가 될 때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gametime-blue.tistory.com/166

 

마인크래프트 SKT공유기 서버열기 도메인포함! 포트포워딩!!!!!!

1.마인크래프트: 공유기 설정(포트포워딩 공유기설정) 마인크래프트 SKT공유기 서버열기 도메인포함! 먼저 사용자 ID는 admin입니다. 아이피는 192.168.35.1입니다. https://hancho1111.tistory.com/60참고블..

www.xn--479a844aytn.xn--2i0b10rqve.xn--3e0b707e

먼저 저는 paper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원래 spigot이 있지만 저는 플러그인개발을 안하며 그냥 하기때문에 paper를 쓰기도하며 저는 저장공간이 남들과는 다르게 적기때문에 paper가 저에게 안성맞춤이라서 쓰기때문에 딱히 문제는 없습니다.

<1.마인크래프트 서버 안열리는 현상 해결법>

<2.마인크래프트 서버 커맨드 키는 방법>

<3.마인크래프트 서버 열기 및 설정>

papermc.io/downloads

 

Downloads – PaperMC

 

papermc.io

사이트에 접속을 하시면 이런식으로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현재 최신버전인 1.16.5입니다. 되도록이면 저는 맨 위에 있는 것을 다운로드하라고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더보기
Legacy(레거시를 클릭했을 떄)
more(최근에 나온 1.16.5버전 버킷 다운로드 파일)
이미지 정리

자 이제 그러면 서버 버킷을 한번 다운받아봅시다. 제가 맨 위에 있는 버킷을 다운받아보겠습니다.

다운로드를 하시면 다음과 같이 아래와같은 이미지가 나오는데 paper-1.16.5-534.jar은 미리 기억하거나 적어두는게 나중에 cmd를 작업할 때 유용할겁니다. 

이번에는 서버를 열 수 있도록 폴더를 만들어서 그 안에 저 버킷을 넣고, 더블클릭을 하면 서버를 열 수 있도록 작업이 나옵니다.

<3.마인크래프트 서버 열기 및 설정>

이 아이콘을 폴더에 넣어준 뒤 더블클릭을 합니다.

이런식으로 클릭을 해서 cache폴더 및 logs와 sever.properties와 eula를 나오게 합니다.  여기까지 한거면 대략 50%정도는 다 한것입니다. 나머지도 잘 따라 와주셨으면 좋겠는데 아마도 여기까지 오는데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컴을 껏다가 키거나 다른 프로그램정도를 끄면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예를 들어서 디스코드같은 경우에는 램으로 사용되어서 서버를 키는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제 컴의 램이 8기가라고하면 2기가는 디코에 쓰고 1기가는 지금 보고계시는 저의 블로그 창을 보고있고 나머지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키는 서버콘솔창은 2기가를 쓰고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으로 컴퓨터가 돌아갈때 0.07기가정도 쓴다는데 이거같은 경우에는 반올림해서 빼고, 총합을 보자면 2+1+2입니다. 그러면 컴퓨터에서 남은 램을 쓸 수 있는 양은 3기가인데 마인크래프트 같은 경우에는 기본으로 1기가에서 2기가로 설정되어있습니다.

그러면 최대 2기가를 쓴다고했을 때를 보자면 2+1+2+2=7기가정도인데 그러면 나머지 1기가는 컴퓨터에서 일부만 돌아간다고했다고 가정한다면 약 0.93기가정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디스코드는 그냥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암튼 그러면 컴퓨터가 8기가라서 무조건 다쓴다는 건 아니지만 컴퓨터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컴퓨터는 똥컴이면 몰라도 새컴일 경우에는 쉽게 바꾸기에는 아쉬운 면이 있지않을까합니다. 자 그래서

이런식으로 eula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언제 서버버킷을 켰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희는 eula를 true로 바꿔준다음에 저장을 클릭합니다.

mon은 월요일, march는 3월 22는 22일입니다. 이거같은 경우에는 이 글은 몇 일전부터 썼는데 학교를 가는 상황이되어서 못하고있다가 지금 다시 쓰는 중입니다. 아마도 지금이 현재 12시55분을 지나고있기때문에 새벽이라서 00은 12시를 의미하고 34는 34분 57은 57초를 나타냅니다. 암튼 그래서 늦게라도 글을 쓰고있기때문에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런다음 메모장을 열고, Java -Xms1G -Xms2G -jar paper-1.16.5-534.jar을 써줍니다.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xms는 램 할당량입니다. 아래와같이 JVM인수에서 들어가는 거 같은데 저는 잘모릅니다. 근데 저게 마인크래프트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일부인것은 알고있습니다.

자 암튼 저장을 하신후에 폴더에서 기본선택이 홈으로 표시되어있을텐데요, 이것을 보기를 클릭한 후에 파일확장명이라는게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체크)하면 .txt 및 .jar 등이 표시될겁니다. 아마도 기본 윈도우10이나 윈도우7경우에는 파일확장명이 숨겨져있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이유는 깨끗해보이려고 이런식으로 숨이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암튼 이런식으로 뒤에 파일확장명이 있는데 이것을 바꿔줍니다.  위에 보이시는 "새 텍스트 문서.txt"를 새텍스트 문서.cmd나 새 텍스트 문서.bat로 바꿔주시면 콘솔창 아이콘이 생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파일의 확장명을 변경하면 사용할 수 없다며 경고를 해줍니다. 저희는 예를 눌러줘야합니다. 아니요라고하면 다시 .cmd라고 써야하는데 귀찮아지잖아요? 궁금하면 해보시는것도 나쁘지않지만 저는 서버를 열어주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것이기때문에 예를 눌러주겠습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톱니바퀴모양이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콘솔창을 띄워주는 거라서 저는 편하게 콘솔아이콘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자 이제 이 cmd창을 클릭해서 서버의 맵을 생성해줍니다. 근데 여기서 미리 작업을 해주셔야할게있습니다. server.properties 텍스트파일 들어갑니다.

이것을 클릭하면

#Minecraft server properties
#Mon Mar 22 00:34:57 KST 2021
enable-jmx-monitoring=false

.

.

.

max-world-size=29999984

이런식으로 엄청난 양의 글자가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서버 커맨드 키는방법>

저희가 만져줄 것은

allow-flight=false

enable-command-block=false

max-players=20

max-world-size=29999984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먼저allow-flight=false는 비행을 사용하면 서버에서 스스로 kick을 시킵니다. 그래서 이것을 true로 바꿔주면 비행을 허용하는 꼴이되어서 서버에서 kick을 당하지않아도됩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enable-command-block=false 커맨드 블럭의 사용을 막아주는 실행문입니다.

기본설정으로는 false로 설정이 되어있기때문에 커맨드를 사용할려면 true로 바꿔줘야합니다.

그리고 max-players=20은 최대플레이어를 나타냅니다. 기존에 잡혀있는 최대플레이어는 20명이므로 만약에 3명이서할거라면 이 숫자를 줄어두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max-world-size=29999984는 맵의 크기입니다. 저장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숫자를 줄여서 맵의 크기를 줄어놓으면 그만큼 저장공간이 많이 생길겁니다.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저장공간도 어느정도 비워져있어야지 렉이 안걸립니다.

 

그밖에 아래와같은 설정도 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클릭)

더보기

allow-nether=true/false <-네더를 허용/네더를 비허용

spawn-animals=true/false <-동물스폰 허용/동물스폰 비허용

white-list=true/false <-화이트리스트 허용/비허용

화이트리스트는 서버의 사용자를 등록하는 리스트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블랙리스트는 입장을 못하지만 화이트 리스트는 입장이 가능하다는겁니다. 그래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여신후에 그 서버 주인도 못들어갑니다.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은 서버 콘솔창에 /whitelist add <플레이어 닉네임>을 써주셔야 들어올 수 있습니다. 

허용을 할 경우, /whitelist add <플레이어 닉네임>을 콘솔에 쳐 주신후에 입장이 가능합니다.

비허용을 할 경우에는 아무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spawn-npcs=true/false <-npc허용/npc비허용

 

enable-command-block=true

allow-flight=true

max-world-size=2999

저는 이렇게 값을 설정했습니다.

server.properties
0.00MB

 

<마인크래프트 서버 안열리는 현상 해결법>

자 그리고 이제 더블클릭하면 이런식으로 콘솔창과 JDK창이 생깁니다. 여기서 만약 서버가 안열리신다면 JDK를 다운을 받으셔야합니다.저같은 경우에는 학교에서 JDK를 다운받야하는 상황이 생기기도했지만 사실 이전에 서버를 열려고했는데 서버가 안열려서 해결방법을 찾다가 JDK를 다운받으면된다고해서 JDK최신버전을 다운받고하니까 서버가 정상적으로 열렸습니다.

그래서 만약 서버가 안열리시는 분들은 stop을 치고 ender를 누른 후에 콘솔창을 닫습니다.

그리고 아래에 사이트에 접속을 해줍니다.

www.oracle.com/kr/java/technologies/javase-jdk15-downloads.html

그러면 자신의 컴퓨터 프로세서를 알맞게 써주시면됩니다. 윈도우분들은 윈도우 용으로 다운받으시고, 리눅스는 리눅스, 맥은 맥으로 다운을 받으신 후에 더블 클릭후에 설치를 하고, 설치를 다하신후에 닫기를 누르고, 서버를 다시열어보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열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서버를 열 수 있습니다. 또한 여기서 op를 얻고싶다면 /op <플레이어 닉네임>이런식으로 주시면 op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LIST